한글본 한국불교전서
한국 선지식들의 불교관련 문헌을 집대성한 한국불교전서를 우리말로 역주하여 편찬하고 있습니다.
자료적 가치가 있는 사지, 사기, 의례, 언해서 등을 체계적으로 수집하여 편찬하고 있습니다.
ABC사업 발굴자료의 정본화 및 출판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자료적 가치가 있는 사지, 사기, 의례, 언해서 등을 체계적으로 수집하여 편찬하고 있습니다.
ABC사업 발굴자료의 정본화 및 출판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복원본 무량수경술의기
등록일 : 2020.11.30
-
저자 의적 출판년월 2020-10-20 ISBN 978-89-7801-988-0(93220) 판형 신국판 페이지수 496쪽 판매가 25,000원 『무량수경술의기』는 신라 스님 의적이 7세기경 찬술한 주석서이다. 본서는 신라의 정토관계 주석서 중에서 특히 독자적 해석을 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무량수경』의 48원과『정토론』에서 정토와 관련된 29가지 공덕을 각각 원인과 결과로 파악하여 상호 배대한 것, 『미륵문경』에서 범부의 생각이 아니라고 한 10념을, 범부가 일상적으로 행하는 것이 어렵다는 말일 뿐 범부가 할 수 없다고 하는 말은 아니라고 하여, 『무량수경』의 1념에『미륵문경』의 10념을 내재화시킨 것 등이 특히 주목할 만하다. 본서는 일본에서 748 년 서사되었고, 이후 일본 정토교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쳤다. 본서가 선도善導의 구칭염불口稱念佛을 계승하고 있다는 것이 그 주된 이유로 작용하였지만 의적이 제시한 『미륵문경』의 10념이 내재화된 염불을 선도의 구칭염불과 동일시하여 양자의 계승성을 확정하는 것은 문제의 소지가 있다. 의적이 선도의 사상을 그대로 계승한 것인지에 대해서는 아직 더 많은 논의가 필요하다. 본서는 『한불전』에 수록된 복원본 『무량술의기』에 새롭게 발굴된 미노부문고본 『무량수경술의기』에서 중복되지 않는 부분을 첨가하였다. 본서는 현재로서는 의적의 정토사상을 가장 분명하게 알 수 있는 문헌이라고 할 수 있다.이전 연담대사임하록 다음 풍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