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본 한국불교전서
한국 선지식들의 불교관련 문헌을 집대성한 한국불교전서를 우리말로 역주하여 편찬하고 있습니다.
자료적 가치가 있는 사지, 사기, 의례, 언해서 등을 체계적으로 수집하여 편찬하고 있습니다.
ABC사업 발굴자료의 정본화 및 출판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자료적 가치가 있는 사지, 사기, 의례, 언해서 등을 체계적으로 수집하여 편찬하고 있습니다.
ABC사업 발굴자료의 정본화 및 출판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장의
등록일 : 2019.07.15
-
저자 원효 출판년월 2019-07-10 ISBN 978-89-7801-954-5(93220) 판형 신국판 페이지수 251쪽 판매가 15,000원 『이장의』는 신라 시대 최고의 학승인 원효元曉(617~686)가 불교의 번뇌설에 대해 종합해서 논의한 저술이다. 이장二障이란 번뇌장煩惱障과 소지장所知障으로서, 각기 번뇌라는 장애와 인식대상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장애한다는 의미이다. 번뇌에 대한 교설은 이미 초기불교 이래 다양하게 설해져 왔지만, 소지장 개념은 초기 유식 문헌인 「보살지」에서 비로소 확정적인 형태로 제시되고 있다. 원효의 독창성은 유식학파의 ‘이장’의 개념을 확장시켜서 현료문顯了門에 의해 유식학파의 이장설을 정리하고, 은밀문隱密門에 의해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의 이애二礙 개념을 제시하면서 이장설을 후자의 일부, 즉 번뇌애煩惱礙에 포섭시키는 방식으로 불교의 번뇌설을 해석하고 체계화했다는 데 있다.
『이장의』의 난해성은 원효가 방대한 문헌에서 자유자재로 인용하고 있는 데서 기인할 것이다. 이런 내용을 통해 그의 원전에 대한 깊은 이해와 독창적인 안목이 드러나 있는데, 본서는 원전의 맥락에서 원효의 인용의 의미를 정확히 제시하고자 했다.
이전 월파집/해붕집 다음 운곡집/허백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