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황 및 취지
-
현황분석
-
01 불교교단의 비즈니스 전문 인력 수요 증가
불교교단에 각종 사업이 증가하고 있으나 비즈니스에 관한 전문 인력은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부디스트 비즈니스학과는 종단과 사찰에서 필요로 하는 비즈니스 전문 인력을 집중적으로 육성하고 배출한다.
02 비즈니스맨들의 인문학 욕구 증가
생존을 위한 창의적 아이디어가 절실한 비즈니스맨들에게 인문학적 욕구가 강하게 증가하는 추세다. 불교인문학을 기반으로 한 부디스트 비즈니스학은 이들에게 유연한 사고뿐만 아니라 혁신적인 경영철학을 제공한다.
03 불교교단 지도자와 불자 기업인의 네트워크 필요성
불교와 경제가 서로 다른 차원으로 인식되는 시대이다. 불교계 지도자와 경제계 불자 기업인이 학문적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의 활동 영역을 공유하고 궁극적으로 불교의 사회경제적 위상과 영향력을 제고해야 한다.
04 융합학문의 영역 확장
현대는 둘 이상의 학문 분야를 복합적으로 연구하는 융합학문이 각광을 받는다. 불교학, 경영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이 연계된 부디스트 비즈니스학은 인문사회 분야에 있어서 융합학문의 또 다른 분야를 개척하는 것이다.
-
부디스트 비즈니스학과의 수학대상
-
01 불교종단 교역직 스님
고학력 사회로 접어들면서 불교에 대한 일반인들의 기대가 급상승하고, 이와 비례해 각 종단 중앙종무기관의 부장, 실장, 국장, 중앙종회의원 등 교역직 스님들과 교구본말사의 주지, 국장 등 소임을 맡은 스님들의 석ㆍ박사 학위에 대한 욕구가 높아지고 있다.
02 불자 경영인 및 불교 활동가
경제생활에 있어서 다양한 경로의 네트워크는 미처 예상치 못했던 파급력을 발휘한다. 개인의 지적 성장과 더불어 인적 네트워크의 구축을 희망하는 불자 경영인과 불교계 NGO 및 NPO 활동가들에게 부디스트 비즈니스학과는 가장 현명한 선택이 될 것이다.
03 불교최고위과정과 사찰경영전문CEO과정 수료생
부디스트 비즈니스 관련 학과를 개설한 국내의 대학과 대학원은 전무하다. 수요가 없어서라기보다 수요를 예측하고 반영하지 못해서이다. 부디스트 비즈니스학의 필요성은 학위를 수여하지 않는 비정규교육과정임에도 불구하고 수많은 수료자를 배출한 동국대학교의 ‘불교최고위과정(불교대학원)’과 ‘사찰경영전문CEO과정(경영전문대학원)’에서 입증된다. 이 과정을 수료한 불교교단과 사회기업의 지도자들에게도 부디스트 비즈니스학과는 정규 석ㆍ박사 학위과정을 수학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04 불교융합 분야의 학문후속세대
최근 들어 교학이 주류이던 불교학계에 융합학문인 응용불교의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부디스트 비즈니스학과는 응용불교를 전공하려고 일반대학원에 진학하는 학문후속세대에게 선택의 폭을 넓혀준다. 동국대학교는 물론 중앙승가대, 위덕대, 금강대, 원광대 등 불교종립대학의 불교학과 및 유관 학과 졸업자들에게도 새로운 전망과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05 기타 불교계 내ㆍ외 기관
부디스트 비즈니스학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불교종단 교역직 스님, 불자경영인 및 불교활동가, 불교최고위과정과 사찰경영전문CEO과정 수료생, 불교융합 분야 학문후속세대 등의 대상뿐 아니라 교계 내부에서 활동하는 방송, 언론, 출판인들에게도 권장할 만한 교과목을 편성하고 있다. 이는 불교 외부의 경영과 언론 종사자들이나 학문적 열망을 가진 특정할 수 없는 모든 이들 또한 의미 있는 학문적 만족을 경험할 수 있는 커리큘럼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