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목 소개
-
001 현대사찰경영 연구
Modern Temple Management Research
사찰의 경영 원리와 성장 방안을 체계적으로 연구한다.
002 한국불교종무행정 연구
Study on Religious Administration of Korean Buddhism
한국 불교종단의 조직관리, 인사관리, 재무관리를 연구한다.
003 불교경영철학 연구
Study on Management Philosophy in Buddhism
불교사상에 기반을 둔 기업과 단체 등의 경영철학을 고찰한다.
004 현대전법교화론
Modern Missionary Theory
한국불교가 양적⋅질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전법교화의 정신과 방안을 탐구한다.
005 종헌종법 연구
Study on the Constitution and Laws of the Buddhist Orders
현대 불교종단의 운영 규범인 종헌과 종법을 연구한다.
006 불교윤리학 연구
Study on Buddhist Ethics
불교윤리사상이 일반윤리사상과 다른 독특한 특징을 모색하여,
그것이 근거하는 불교의 근본교리를 확인하고 나아가 불교윤리의 실천덕목으로 구체화한다.
007 현대사회와 불교윤리 특강
Special Lecture on Modern Society and Buddhist Ethics
한국사회를 이끌어갈 지도적 사상으로서 불교윤리를 연구한다.
008 계율사상 연구
Study on Precepts and Moral Disciplines Thought
계율의 의미와 발생, 기능, 실천규범 등에 관하여 연구한다.
009 불교교단사 연구
Study on Buddhist denomination history
불교교단의 역사를 시대적, 지역적으로 분류하여 연구한다.
-
010 불교생태학 연구
Study on Buddhist Ecology
불교와 생태학이 공유하는 상호의존성과 비실체성 등의 관점을 탐구하여
불교와 과학의 접점을 모색하고 불교를 현대적으로 해석한다.
011 불교생태학 특강
Special Lecture on Buddhist Ecology
불교생태학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연구 방법을 모색한다.
이후 불교적 환경 운동의 방향을 제시한다.
012 불교공동체규범 연구
Study on the Norms of Buddhist Community
불전을 통해 불교공동체의 규범을 고찰하고 현재의 공동체 현상을 연구한다.
013 동아시아 불교교단의 형성과 전개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East Asia Buddhist Denomination
동아시아에서 성립하고 전개된 불교교단의 역사와 사상을 체계적으로 이해함으로써
동아시아 불교를 거시적으로 고찰한다.
014 한국사찰의 문화사와 생활사
Cultural History and Life History of Korean Temples
사찰에서 이루어지는 의식주의 일상, 의례문화, 신앙행위 등을 문화생활사의 관점에서 검토한다.
015 현대사회와 율장 연구
Research on Modern Society and Moral Disciplines Collection
율장을 현대승가에 원용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한다.
016 동아시아 문화교류와 불교
East Asian Cultural Exchange and Buddhism
동아시아 역사에서 불교를 매개로 이루어진 문화와 인물의 다양한 교류를 시대별로 살펴보고
그 특징을 고찰하여 동아시아 불교문화권의 정체성을 탐구한다.
017 한국학으로서 불교학 연구방법론
Methodology of Buddhist Studies as Korean Studies
한국 근현대불교학의 학문적 계보, 연구사, 대표성과를 정리하고,
한국학으로서 불교학의 연구 방법론과 향후 과제를 검토한다.
018 불교기록유산 조사방법론
Methodology for Investigation of Buddhist Archives
불교기록유산의 집성과 목록화, 관리와 보존, 디지털화와 아카이브 구축 및 정보화 활용방안 등을
총체적으로 이해한다.
-
019 재무관리
Financial Management
기업의 재무적 의사결정에 대한 자본시장 중심적 이론체계를 학습한다.
020 경영과학
Management Science
생산, 운영, 재무, 유통, 인사 등 기업의 다양한 영역에서 발생하는 의사 결정 문제를
과학적 분석과 모델링 기법을 통해 해결하는 방법을 배우고, 응용 사례를 검토한다.
021 고용관계론
Theory of Employment Relations
자본주의 발달에 따른 노동문제의 이념적 측면을 고찰하고,
한국 자본주의의 발달과정에서 발생한 노사문제의 배경을 이해한다.
022 조직행위론
Theory of Organizational Behavior
조직 내에서 개인의 특성과 역할을 분석하고, 집단에서의 행위, 커뮤니케이션, 리더십 유형 등을 고찰한다.
023 인사관리
Personnel Management
합리적 인사관리의 방향 설정을 위한 기본 작업으로, 이론적 토대를 학습한 후 기존 연구의 장단점을 살펴본다.
024 조사방법론
Survey Research
학술논문 작성에 필요한 사회과학적 조사방법론을 학습한다.
025 리더십
Leadership
최고경영자나 인사전문가가 갖추어야 할 지적 소양과 관리자적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이론과 방안을 교육한다.
026 투자론 특강
Special Lecture on Investment
투자자나 포트폴리오 매니저의 관점에서 어떻게 투자결정이 이루어지는지를 배우고,
시장의 거래구조와 주식, 채권과 같은 금융상품에 대해서 교육한다.
027 마케팅세미나
Marketing Seminar
마케팅의 필요성, 목적, 활용방안 등을 학습한다.
028 임금관리론
Theory of Wage Management
종업원이 노동의 대가로 지급받는 임금의 수준⋅체계⋅형태 등을 학습하고,
공정하고 합리적인 임금관리에 관해 교육한다.
029 조직구조론
Theory of Organizational Structure
조직 구성원의 상호관계인 조직 내 지위나 계층 관계를 고찰하고,
조직 구성원의 역할 배분과 조정 및 활동의 관리체계를 학습한다.
030 경영전략세미나
Business Strategy Seminar
변동하는 기업환경 아래서 기업이 존속과 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전략을 모색한다.
-
031 매스컴효과 연구
Effects of Mass Communication
매스미디어 효과에 관한 연구의 전개과정을 살펴보고,
현재의 미디어 효과와 인간 행동과의 관계를 연구하는 교과목이다.
032 설득커뮤니케이션 연구
Studies in Persuasive Communication
상대를 설득해서 지지나 구매를 유도하는 행위인 설득커뮤니케이션에 관해 교육한다.
033 대중문화론
Communication and Cultural Studies
산업의 영역에 포섭된 대중문화의 본질적 의미를 짚어보고
자본에 종속된 현대 대중 문화의 역할과 의미를 문화연구의 관점에서 접근한다.
034 미디어법제론
Media Laws
미디어에 관련된 법적 제도를 총괄적으로 학습하고,
특히 한국에서 현행하는 미디어 법제도의 현실적인 적용 가능성을 탐구한다.
035 정치캠페인 연구
Seminar in Political Campaign
정치 과정 중에서 특히 선거와 관련된 캠페인 과정을 집중적으로 논의하고,
선거에서의 승리와 패배 요인을 분석한다.
036 문화산업론
Studies in Culture Industry
대중문화를 생산하고 유통시키며 수익을 창출하는 경제활동에 대하여 학습한다.
037 PR이론 연구
Seminar in Public Relations
Public Relations에 대한 전반적인 개념과 이론을 검토하고 다양한 PR활동과 PR기획과정 등을 학습함으로써
학문적이고 전문적인 영역으로서의 PR을 체계적으로 이해한다.
038 사이버커뮤니케이션
Cyber Communication
사이버공간이 전통적 매스커뮤니케이션 패러다임 변화에 어떻게 작용하고 있으며
앞으로 어떻게 작용할 것인지를 학습한다.
039 방송학 특강
Special Topics in Broadcasting
한국 방송의 전개과정과 현재의 방송구도, 그리고 방송의 미래에 관한 논의를 전개한다.
040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Intercultural Communication : Theory and Research
서로 다른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의 역사적 전개 과정과 더불어
현재 문화 간 충돌과 다문화 사회에서의 통합 문제를 집중적으로 조명한다.